인터넷 사이트의 웹페이지는 컴퓨터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에 저장해 놓은 인터넷 웹페이지는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웹페이지의 스킨 소스, 글, 이미지 등이 컴퓨터에 저장 되어 있기에 시간이 지난 후에도 저장 시점 상태의 웹페이지를 볼 수 있습니다.
인터넷 웹페이지 저장 방법은 인터넷 브라우저에 따라 방법이 다릅니다. 윈도우10의 엣지 브라우저는 인터넷 웹페이지 저장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크롬, 익스플로러 11, 파이어폭스 퀀텀의 인터넷 웹페이지 저장 방법 아래와 같습니다.
글 목차
인터넷 웹페이지 저장 방법, 크롬
크롬 브라우저 주소창 오른쪽의 삼 점 모양 ‘Chrome 맞춤설정 및 제어’를 누릅니다.
메뉴가 펼쳐지면 ‘도구 더보기’를 누른 후 ‘페이지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A)’을 누릅니다. 크롬 브라우저에서 단축키 Ctrl + S 를 누르면 페이지를 빠르게 저장할 수 있습니다.
다른 이름으로 저장이 열리면 저장될 폴더를 선택한 후 ‘저장(S)’을 누르면 인터넷 웹페이지가 저장 됩니다.
인터넷 웹페이지를 저장할 때 파일 형식을 ‘웹페이지, 전부’로 선택하면 페이지 이름의 폴더가 생성되며, 페이지의 모든 구성 요소가 폴더로 저장됩니다. 파일 형식을 ‘웹페이지, HTML만’으로 선택하면 html 파일만 저장 됩니다.
네이버 뉴스를 페이지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A)하면 네이버 뉴스.html 파일이 다운로드 되고, 네이버 뉴스_files 폴더가 생성 됩니다.
네이버 뉴스_files 폴더에는 네이버 뉴스 페이지의 이미지, 자바스크립트, css 등의 소스 파일들이 저장 됩니다.
인터넷 웹페이지 저장 방법, IE와 파이어폭스
인터넷 익스플로러 11의 인터넷 웹페이지 저장 방법은 오른쪽 모퉁이에 있는 톱니바퀴 모양의 ‘도구(Alt+X)’를 누릅니다. 메뉴가 열리면 ‘파일(F)’을 누른 후 ‘다른 이름으로 저장(A)’을 누릅니다.
웹 페이지 저장이 뜨면 파일 형식 옵션을 선택한 후 ‘저장’을 누릅니다. 선택한 옵션으로 인터넷 웹페이지가 저장 됩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11은 인터넷 웹페이지 저장 파일 형식이 조금 다릅니다. 모든 웹 페이지, 웹 페이지 보관 파일, 웹 페이지 중 HTML만, 텍스트 파일 4가지 파일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웹 페이지 보관 파일를 선택하면 .mht 형식의 단일 파일로 인터넷 웹페이지가 저장 됩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11은 인터넷 웹페이지를 텍스트 파일로도 저장 할 수 있습니다.
파이어폭스 브라우저는 ‘파일’을 누른 후 ‘다른 이름으로 저장(A)’을 누르면 인터넷 웹페이지가 저장 됩니다. 파이어폭스 브라우저의 인터넷 웹페이지 저장 파일 형식은 ‘웹 페이지, 전체’, ‘웹 페이지, HTML만’, 텍스트 파일, 모든 파일 4가지 옵션이 제공 됩니다.
인터넷 웹페이지 저장 방법은 브라우저 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하지만 단축키는 Ctrl + S로 동일 합니다. 브라우저에서 단축키 Ctrl + S를 누르면 보고 있는 페이지를 컴퓨터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상 인터넷 웹페이지 저장 방법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