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크롬 검색창 기본 검색 엔진 변경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크롬 인터넷 주소창 검색 엔진은 구글입니다. 구글 검색을 이용하지 않는다면 네이버, 다음, 빙 등의 검색 엔진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원한다면 개인정보 보호에 특화된 덕덕고 검색이나 줌, 바이두 등을 크롬 브라우저의 기본 검색 엔진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구글 크롬 검색창 검색 엔진에 바로 가기 키를 설정해 놓으면 다양한 검색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일종의 단축키 역활을 하는 바로 가기 키를 설정해 놓으면 크롬 인터넷 주소창 검색으로 구글, 네이버, 다음, 빙, 덕덕고 등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구글 크롬 검색창 기본 검색 엔진
구글 크롬 브라우저(한국, 한국어)의 “검색 엔진”에는 기본적으로 5가지 검색 사이트(구글(기본), 네이버, 다음, 빙, 야후)가 등록 되어 있습니다.
다른 검색 엔진을 “검색 엔진”에 바로 추가할 순 없지만 “사이트 검색”에 추가한 후 기본으로 설정하는 방법으로 네이버, 다음 등의 새로운 검색 엔진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덕덕고를 사이트 검색으로 추가한 후 크롬 주소창 기본 검색 엔진으로 변경하는 방법으로 설명하겠습니다. 네이버 검색 등도 방법은 동일합니다.
덕덕고(duckduckgo.com)는 검색 엔진인데 ‘개인 정보 보호, 단순화 (Privacy, simplified)’를 표방하는, 개인정보 보호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검색 사이트입니다.
‘구글은 너를 추적한다. 우리는 하지 않는다 (Google tracks you. We don’t)’라는 홍보 문구만 보더라도 추구하는 바가 다르는 것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구글과 상반된 검색 엔진이기에 다소 불편할 수 있습니다.
구글 검색도 덕덕고 검색도 불편하다면 자신의 사용 패턴에 맞는 네이버 등의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면 됩니다.
구글 크롬 검색창 검색 엔진 추가

- 구글 크롬 브라우저를 실행 시킵니다.
- 크롬 검색창 우측 도구 모음의 삼 점 모양 Chrome 맞춤 설정 및 제어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 메뉴가 펼쳐지면 설정을 선택합니다.
- 설정 메뉴 목록에서 검색엔진을 선택합니다.
- 화면 폭이 작은 경우 상단 좌측 햄버거 아이콘을 클릭하면 설정 메뉴 목록이 펼쳐집니다.
- 검색엔진 설정 화면이 열리면 검색엔진 및 사이트 검색 관리를 클릭합니다.
- 검색 관리 페이지가 열리면 “사이트 검색” 항목 우측의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 검색엔진 추가 창이 열리면 “검색엔진”, “바로 가기”, “URL”을 입력한 후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 검색엔진 : 구분을 위한 용도로 사이트 이름 또는 별칭 입력
- 바로 가기 : 검색창 검색 단축키로 사용되며 기억하기 쉽도록 짧은 단어 입력
- URL : 검색 결과 페이지 주소 + %s(검색 키워드) 입력
- 덕덕고 검색 쿼리 예시 : https://duckduckgo.com/?q=%s
“검색엔진”에 입력한 단어는 사이트 이름으로 사용되며, “바로 가기”에 입력한 단어는 검색창 검색 단축키로 사용됩니다.
“URL”에 입력한 검색 사이트의 검색 결과 페이지가 열립니다. “URL”에는 SNS, 커뮤니티, 개인 사이트, 블로그 등을 입력해도 됩니다.
검색 사이트 또는 웹사이트 검색 결과 페이지 주소에서 ‘검색 키워드’에 해당하는 부분을 ‘%s’으로 대치 시키면 됩니다.
덕덕고를 사이트 검색에 추가할 때 쉽게 연상될 수 있거나 기억하기 쉽게 검색엔진에 “덕덕고”를 입력하고, 바로 가기에는 “덕”을 입력하면 됩니다. URL에는 “덕덕고 검색 쿼리 예시”처럼 입력하면 됩니다.
크롬 인터넷 주소창 검색 변경

- 추가 사이트 목록에서 “덕덕고” 항목 우측의 삼점 모양 추가 작업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 메뉴가 열리면 기본으로 설정을 선택합니다.
- “기본으로 설정”을 선택하면 해당 검색 엔진이 크롬 주소창 기본 검색 엔진으로 설정됩니다.
- 기본 검색 엔진으로 설정하면 상단의 “검색엔진” 목록으로 이동 됩니다.
- 추가 작업의 삭제를 클릭하여 검색엔진 목록에서 제거할 수 있습니다.
“검색 엔진” 목록의 다른 검색을 기본으로 설정할 경우 덕덕고는 원래의 위치인 “추가 사이트” 목록으로 이동 됩니다.
크롬 인터넷 주소창 검색 바로가기 설정
크롬 인터넷 주소창 검색 기능을 이용하면 검색하면 구글 검색 결과 페이지가 열립니다. 이는 크롬 인터넷 주소창 검색 엔젠이 구글로 설정(구글이 기본 설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크롬 기본 검색 엔진을 네이버로 설정할 경우 인터넷 주소창 부분에 검색 키워드를 입력하고 엔터 키를 누르면 네이버 검색 결과 페이지가 열립니다.
크롬 인터넷 주소창 검색은 기본 검색엔진으로 설정한 검색을 이용합니다. 허나 네이버 검색을 기본 검색 엔진으로 설정하지 않더라도 크롬 인터넷 주소창 검색으로 네이버 검색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크롬 설정의 검색엔진 목록에서 바로 가기를 설정하면 네이버, 다음, 빙, 구글 등의 검색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설정의 검색엔진 목록에서 네이버 검색의 바로가기 키를 ‘네’로 설정합니다.
- 크롬 주소창에 ‘네’를 입력하고 키보드의 스페이스 키를 누릅니다.
- 바로 가기 키를 입력하고 스페이스 키를 누르면 인터넷 주소창이 네이버 검색창으로 전환됩니다.
- 네이버 검색으로 전환된 인터넷 주소창 (첨부 이미지 참조)에 검색어 (예시 : 방법사전)를 입력한 후 키보의 엔터 키를 누릅니다.
엔터 키를 누르면 네이버 검색 결과 페이지가 열립니다.
설정의 검색엔진 목록에서 다음 검색은 ‘다’로 MS 빙 검색은 ‘빙’으로 야후 검색은 ‘야’로 설정해 놓으면 해당 바로 가기 키를 이용하여 다음, 빙, 야후 등의 검색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크롬 주소창 자동완성 기능은 검색 엔진과 별도로 동작하는 기능입니다. 주소창 자동완성 기능을 사용하고 싶지 않다면 크롬 자동완성 삭제 또는 자동완성 해제 방법을 참고하세요.
크롬 브라우저에서 주소창 기본 검색 엔진을 덕덕고로 변경하더라도 방문기록, 인터넷 사용 기록 등의 개인정보가 수집 될 수 있습니다. 이는 크롬 브라우저에 구글 계정이 로그인 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계정 활동 내역이 서버와 동기화 되기 때문입니다. 사용 기록을 삭제하고 싶거나 저장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면 크롬 방문기록 삭제 방법을 참고하여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덕덕고 검색 엔진이 표방하는 개인 정보 보호를 원한다면 덕덕고 브라우저 앱 (DuckDuckGo Privacy Browser)을 사용해야 합니다.
PC에서는 크롬 브라우저에 DuckDuckGo 개인 정보 보호 에센셜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구글 계정 로그 아웃 상태로 사용해야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