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라 제거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윈도우 컴퓨터 또는 노트북 느려짐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윈도우 운영체제의 노트북, 데스크톱 컴퓨터는 사용하다 보면 점차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컴퓨터나 노트북 느려짐 문제는 대부분은 윈도우에 설치한 프로그램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불필요한 프로그램을 삭제하거나, 그리드 프로그램이나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 등을 삭제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컴퓨터 노트북 느려짐 문제
그리드 프로그램은 토렌트 프로그램과 유사한 방식입니다. 그리드 딜리버리, 그리드 컴퓨팅, 분산 네트워크, 병렬 분산 시스템 등 여러 명칭으로 불리는 그리드 프로그램은 사용자 컴퓨터의 자원(CPU, 메모리, 저장 공간, 인터넷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느려짐 문제를 발생 시키는 원흉이라 볼 수 있습니다.
이 그리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동영상 서비스를 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대표적인 것이 네이버 동영상과 아프리카TV입니다.
지금까지도 그리프 프로그램을 이용하는지는 모르겠지만, 비교적 최근까지도 사용자들의 컴퓨터 자원을 이용하여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하였습니다. 그리드 딜리버리 제거 프로그램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그리드 프로그램 못지 않게, 경우에 따라서는 버금가거나 그에 준하는 수준으로 컴퓨터 성능을 떨어뜨리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은행, 증권, 관공서 등에서 설치를 요구하는 안랩 세이프 트랜잭션이나 엔프로텍트 등의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 등도 컴퓨터 또는 노트북 느려짐 문제를 발생 시킵니다. 그리드 프로그램과 보안 프로그램이 모두 설치된 컴퓨터의 경우는 사용하기 어려울 정도의 느려짐 문제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결국 윈도우에 설치한 프로그램 때문에 느려짐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보니 컴퓨터 성능을 저하 시키는 프로그램들을 제거하면 어느 정도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시작 프로그램을 정리하는 것 만으로도 컴퓨터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권장하는 방법은 근본 원인인 안랩 세이프 트랜잭션, 그리드 프로그램,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 등을 컴퓨터에서 삭제하는 것입니다.
구라 제거기를 이용하면 컴퓨터 설치된 보안 프로그램을 클릭 한 번으로 삭제할 수 있습니다.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라제거기 암호 해제 및 실행
구라 제거기는는 비밀번호가 설정된 압축 파일로 배포됩니다. 무료 배포 프로그램에 비밀번호를 걸어 배포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제 머리로는 이해가 안됩니다.

구라제거기 암호는 teus.me입니다.

구라 제거기 압축 파일의 압축을 풀면 HoaxEliminator 버전 폴더 내에 x64와 x86 두 개의 폴더가 있습니다. 64비트 윈도우 컴퓨터는 x64 폴더 내의 구라 제거기를 실행시키면 되고, 32비트 컴퓨터는 x86 폴더 내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됩니다.
자신의 컴퓨터가 몇 비트인지 모르겠다면 윈도우 비트 확인 방법을 참고하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Hoax Eliminator.exe
- npEfdsWCtrlUninstall.exe
- nProtectOnlineSecurity_Uninstall.exe
- TouchEnKey_All_Cleaner.exe
구라 제거기 압축 파일의 x64와 x86 폴더에는 위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이 각각 포함되어 있습니다.

동봉 된 응용 프로그램 중 Hoax Eliminator.exe를 제외한 3개의 응용 프로그램은 별도의 저작권자가 있습니다. 3개의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는 해당 저작권자가 정한 라이선스 정책을 준수해야 합니다.
참고로 nProtect의 경우는 필요하면 언제든 nProtect Online Security 설치 및 삭제 할 수 있습니다. nProtect 등의 보안 프로그램이 설치 되어 있지 않은 컴퓨터로는 인터넷 뱅킹 서비스를 이용 할 수 없습니다.
구라 제거기로 컴퓨터 및 노트북 느려짐 문제 해결
개인 개발자가 제작하여 배포하는 프로그램을 실행 시키면 윈도우 보안에 의해 차단 됩니다. 차단 창에서 정보를 확인한 후 실행 시킬 수 있습니다.
- 구라 제거기(Hoax Eliminator) 압축 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
- 본 글 하단 또는 개발자 블로그에 방문하면 HoaxEliminator.버전.zip 파일을 내려 받을 수 있습니다.
- 다운로드 한 HoaxEliminator.zip 파일을 압축 해제합니다.
- “x64” 또는 “x86” 폴더 안의 ‘Hoax Eliminator.exe’ 응용 프로그램 파일 실행 시킵니다.

- Windows의 PC 보호 창이 열리면 상단의 ‘추가 정보’ 링크를 클릭합니다.
- 앱 이름 및 게시자 정보가 표시되면 하단의 ‘실행’ 버튼을 클릭합니다.
- 사용자 계정 컨트롤 창이 열리면 ‘예’ 버튼을 선택합니다.

- 구라 제거기 실행 창이 열리면 하단 부분의 “옵션” 항목을 선택합니다.
- 예로 업무용 프로그램이 삭제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면 “업무용 프로그램은 제거 안 함”을 체크합니다.
- 옵션을 선택을 마쳤다면 창 하단의 ‘모두 제거’ 버튼을 클릭합니다.
옵션을 선택한 후 ‘모두 제거’ 버튼을 클릭하면 선택한 옵션을 제외한 프로그램들이 윈도우에서 일괄 삭제됩니다.
보안 프로그램 몇 개만 삭제하더라도 윈도우 컴퓨터 또는 노트북 느려짐 문제가 크게 개선될 수 있습니다. 삭제한 보안 프로그램이 많다면 노트북 속도 향상이 피부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업무용 프로그램 삭제 예외 설정
구라 제거기는 업무용 프로그램 관리 기능을 이용하여 특정 프로그램이 삭제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구라 목록(프로그램 목록)에서 ‘프로그램’에 마우스 커서를 올린 상태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합니다.
메뉴가 열리면 ‘업무용 프로그램 목록에 추가’를 클릭합니다.
확인 창이 열리면 ‘OK’ 버튼을 클릭합니다.
업무용 프로그램 목록에 추가한 후 “업무용 프로그램은 제거 안 함” 옵션을 체크하고 보안 프로그램 정리 작업을 진행해야 특정 프로그램이 삭제되지 않습니다. 둘 중 하나만 빼놓더라도 업무용 프로그램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윈도우 시작 프로그램 삭제 기능
기능까진 아니고 설정의 시작 프로그램 바로 가기 링크 ‘윈도우 로고’ 아이콘을 제공합니다.
시작 프로그램 목록에서 로그인 시 실행 설정을 변경할 수 있으니 불필요한 시작 프로그램을 정리하면 됩니다.
윈도우에서 MS 세팅 명령어를 이용하면 웹페이지에서 윈도우 설정 항목을 바로 열게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식의 링크 사용에 큰 제약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용하지 않을 생각입니다.
노트북 느려짐 보다 무서운 구라 제거기 버그들
구라 제거기에 버그가 존재하니 조심해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구라제거기 실행 후 키보드 인식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도구 모음의 빨간색 키보드 아이콘을 클릭하면 “키보드 인식 안되는 문제 해결 팁”을 팝업 창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nProt* Firew* C* Dri*” 제거 후 인터넷이 안 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아래의 방법으로 인터넷 안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도구 모음의 회색 와이파이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nProt* Firew* C*** 드라이버를 제거할까요?” 창이 열리면 ‘Yes’를 클릭합니다.
안내에 따라 문제를 해결합니다.

키보드 인식이 안되는 문제와 특정 보안 프로그램 삭제 후 인터넷이 안 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는 아직 해결을 못한 것 같습니다. 현재 2023년 7월 기준 최신 버전인 7.17.23.5 버전에서도 해결되지 못한 것 같습니다. 6.34.22.9 버전과 동일한 안내 문구가 표시되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에서는 루트 인증서 목록에 대한 안내도 하고 있습니다. 루트 인증서를 삭제하여 발생한 문제는 책임을 지지 않는다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루트 인증서 목록 자체를 보여주지 않으면 아무 문제도 발생되지 않을 것입니다. 그리고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안내 문구를 명시할 필요도 없을 것입니다.
구라 제거기 다운로드
구라 제거기는 설치 과정도 필요 없고 실행 후 클릭 몇 번으로 컴퓨터 성능을 저하 시키는 각종 보안 프로그램들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사용법도 쉽고 간단하게 정리되기에 유용합니다.
다만 몇 가지 버그가 존재하니 문제 발생 시 해결할 자신이 없다면 버그가 완전히 패치 된 버전이 배포될 때까지 사용을 자제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번 7.x대에서는 업데이트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추가했고, 7.10에서는 루트 인증서를 확인하는 기능을 추가했으며, 7.16에서는 목록들을 정렬하는 기능을 추가했다.
그리고, 7.17에서는 후원 계좌를 띄우지 않고 토스 아이디를 통해 후원받도록 수정했다.
구라제거기[키보드 보안 프로그램 삭제] 7.17 업데이트 중 발췌
최신 버전 다운로드 페이지의 설명된 내용을 미루어 보면 최신 버전에서도 버그 패치나 안정화 작업은 없었던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