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 웹마스터 도구 사이트맵 등록 및 변경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검색 사이트는 콘텐츠의 색인을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구글은 서치 콘솔을 운영합니다. 네이버는 서치 어드바이저의 웹마스터 도구를 제공합니다. 빙 검색은 webmaster tools을 제공합니다. 다음은 검색 엔진 관리 도구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치 콘솔, 웹마스터 도구 등에는 사이트맵을 등록하여 검색 엔진의 크롤링 및 색인을 도울 수 있습니다.
사이트맵
서치 콘솔, 웹마스터도구 등에 사이트맵을 제출하면 검색 봇이 탐색으로 방문하여 크롤링 하는 것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크롤링 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맵은 한 번 등록해 놓으면 변경하지 않아도 됩니다. RSS가 보조 사이트맵 역할을 하기 때문에 자주 변경하지 않아도 됩니다.
사이트맵 파일에 문제가 발생하였거나, 내용이 크게 변경되었을 경우에만 된 새 사이트맵으로 교체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빙 webmaster tools 같은 경우는 기존에 등록한 사이트맵을 삭제한 후 새 사이트맵을 등록하면 됩니다.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빙 웹마스터 도구 사이트맵 삭제

- 빙 웹마스터 도구 (https://www.bing.com/webmasters)에 방문하여 로그인 합니다.
- 사이트 관리 메뉴에서 ‘Sitemap’ 항목을 찾아 누릅니다.

- Sitemap에는 기존에 제출한 사이트맵을 확인합니다.
- 오래된 사이트맵을 삭제한 후 새 사이트맵을 등록하면 됩니다.

- 기존에 등록한 사이트맵을 선택한 후 ‘삭제’를 누릅니다.

- 기존에 등록한 사이트맵이 빙 웹마스터도구에서 삭제됩니다.
동일한 방법으로 등록되어 있는 RSS 피드 주소도 삭제할 수 있습니다.
빙 웹마스터 도구 사이트맵 등록

- Sitemap 제출에 사이트맵 주소를 입력한 후 ‘제출’을 누릅니다.

- 제출한 사이트맵이 Sitemap에 등록됩니다.
- 사이트맵을 제출하면 상태가 보류 중으로 표시됩니다.
2~3일 정도 지나면 빙 검색봇이 크롤링하여 빙 검색 색인에 반영하기 시작합니다.
같은 방법으로 RSS 피드 주소도 새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며칠 또는 몇 시간 후에 크롤링 및 색인이 시작될 것입니다. 정상적으로 수집 되면 제출한 사이트맵의 상태는 성공으로 표시됩니다.
크롤링 및 색인이 시작되면 사이트맵에 제출된 URL 숫자도 표시됩니다. 빙 검색 색인 상태는 페이지 트래픽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검색 사이트 사이트맵 등록 및 교체
일반적인 블로그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사이트맵은 자동으로 업데이트 됩니다. 개인이 직접 사이트맵을 업데이트하거나, 생성하지 않아도 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 등은 자동으로 사이트맵이 생성되고 업데이트 됩니다. 빙 웹마스터 도구 등에 한 번 사이트맵을 등록해 놓으면 그걸로 끝입니다.
구글 검색은 구글 서치 콘솔에서 사이트맵을 등록하고 교체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검색은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요청 메뉴에서 사이트맵을 등록하고 교체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블로그는 서치 콘솔, webmaster tools 등에 등록할 수 없습니다. 네이버 정책으로 인해 등록이 불가능합니다.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