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 설정 동기화 기능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윈도우10은 설정 동기화 기능을 이용하여 여러 대의 컴퓨터를 동일한 환경으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0의 설정 동기화 기능은 여러 컴퓨터를 동일한 환경으로 만드는 것이 장점이자 단점입니다. 동일한 환경이 필요 없다면 윈도우10의 설정 동기화 기능을 비활성 시키거나 개별 동기화 설정을 하면 됩니다.

윈도우 설정 동기화 기능은 복수의 윈도우 컴퓨터가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로그인 되어 있어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한 대의 윈도우 컴퓨터로는 동기화 기능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최소 2대 이상의 PC가 필요합니다. 노트북, 조립 PC, 태블릿 등 종류는 무관하며 윈도우10 운영체제의 기기이면 됩니다.
1대의 컴퓨터에서도 윈도우 설정 동기화 기능을 이용할 수 있긴 합니다. 다만 동기화로는 볼 수 없고, 백업 개념으로 이용한다고 봐야 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계정과 연결 되어 있는 회사 계정 혹은 학교 계정도 윈도우의 설정 동기화 기능을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0 설정 동기화 설정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윈도우10 설정 동기화

- Windows 설정 앱을 실행 시킵니다.
- 설정 항목에서 ‘계정’을 선택합니다.

- 계정이 열리면 왼쪽 분류 목록에서 ‘설정 동기화’를 선택합니다.

- 설정 동기화가 열리면 동기화 작동 방법 아래의 ‘설정 동기화’ 상태를 확인합니다.
- 윈도우의 설정 동기화는 기본 설정이 켬 상태입니다.
- 켬으로 되어 있으면 사용 상태이고, 끔으로 되어 있다면 사용 안 함 상태입니다.
윈도우10 설정 동기화 끄기
윈도우10 컴퓨터에서 모든 설정 동기화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싶다면 설정 동기화 아래의 켬을 끔으로 변경 합니다.
일부 동기화 기능만 이용하고 싶다면 개별 동기화 설정의 사용 상태를 설정합니다.
개별 동기화 설정

설정 동기화의 개별 동기화 항목입니다.
테마, 암호, 언어 기본 설정, 접근성 , 기타 Windows 설정 등의 설정 항목이 있습니다.

동기화 하고 싶은 항목은 켬으로 놓고 나머지는 모두 끔으로 변경합니다.
이후부터는 해당 윈도우10 컴퓨터는 켬으로 설정한 동기화 항목만 동기화 됩니다.

윈도우의 설정 동기화 정보는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에 저장 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에 저장된 설정 동기화 정보는 윈도우10 업데이트 직후나 윈도우10 시작 시에도 사용 됩니다.
사용을 원치 않는다면 계정의 ‘로그인 옵션’에서 ‘업데이트하거나 다시 시작한 후 내 로그인 정보를 사용하여 내장치 설정을 완료하고 내 앱을 다시 엽니다. 항목을 끔으로 변경하면 됩니다.
이상 윈도우10 설정 동기화 끄기 및 개별 동기화 설정 방법이었습니다.